생계급여 주거급여,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과 조건 한눈에 보기

생계급여와 주거급여, 누가 받을 수 있고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이 글을 확인하세요.

EconoMate avatar
  • EconoMate
  • 3 min read
생계급여 주거급여
생계급여 주거급여

생계급여와 주거급여, 요즘 들어 정부 복지 정책이 자주 바뀌고 지원 범위도 넓어지면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 많아졌더라고요. 특히 저처럼 주위에 자녀를 키우는 부모님이나, 홀로 사시는 어르신, 그리고 청년들이 “나도 혹시 지원받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많이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생계급여와 주거급여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실제로 지원받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그리고 주변에서 흔히 궁금해하는 점까지 자연스럽게 풀어서 정리해볼까 합니다.

1. 생계급여, 주거급여란 무엇인가요?

먼저,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는 모두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속하는 복지 급여예요. 생계급여는 식비, 연료비, 의류비 등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현금급여이고, 주거급여는 집을 구하기 어려운 저소득 가구에 임대료나 주택 수선비를 지원하는 제도예요. 두 급여 모두 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기준으로 지원 여부가 결정됩니다.

2. 2025년 생계급여, 무엇이 달라졌나요?

2025년 생계급여 기준이 크게 인상됐어요. 4인 가구 기준으로 작년 183만 3,572원에서 올해 195만 1,287원으로 6.42%나 올랐습니다. 1인 가구는 71만 3,102원에서 76만 5,444원으로 인상됐고요. 기준 중위소득도 6.42% 인상되어, 더 많은 분들이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또한, 자동차 재산 기준이 완화돼서 2,000cc 미만, 차령 10년 이상 또는 시가 500만 원 미만 승용차는 소득환산에서 제외됩니다. 부양의무자 기준도 연 소득 1억 원에서 1.3억 원, 일반재산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완화되어, 예전보다 더 많은 가구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어요.

가구원 수 2024년(원) 2025년(원) 인상액(원)
1인 가구 713,102 765,444 52,342
2인 가구 1,178,435 1,258,451 80,016
3인 가구 1,508,690 1,608,113 99,423
4인 가구 1,833,572 1,951,287 117,715

3. 생계급여, 실제로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생계급여는 ‘생계급여 선정기준(최저보장수준)’에서 가구의 소득인정액을 뺀 금액을 받게 돼요. 예를 들어, 1인 가구라면 소득인정액이 20만 원일 때, 76만 5,444원에서 20만 원을 빼면 56만 5,444원을 받게 됩니다. 소득인정액이 0원이면 최대 76만 5,444원을 전액 받아요.

4. 주거급여,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

주거급여는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일 때 신청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4인 가구라면 소득인정액이 약 292만 원 이하이면 지원 대상이 됩니다. 임차가구는 실제 임차료(월세, 전세)를 기준으로 지원하고, 자가가구는 주택 수선비를 지원받을 수 있어요.

주거급여를 받으려면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나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와 소득·재산 신고서, 임대차 계약서 등 필요서류를 준비하면 되고요. 온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

5. 주거급여, 갑자기 줄어들면 왜 그런가요?

주거급여를 받던 분들 중에 “예전보다 급여가 갑자기 줄었다”는 분들도 계세요. 대표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구원 수가 줄었다: 가족이 이사하거나, 별거, 이혼 등으로 가구원이 줄면 지원금이 줄어듭니다.
  • 소득이나 재산이 늘었다: 근로소득이 늘거나, 재산이 늘어나면 소득인정액이 올라가서 지원금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기준 임대료가 바뀌었다: 정부가 매년 기준 임대료를 조정하는데, 이 금액이 내리면 지원금도 줄어듭니다.
  • 실제 임차료가 줄었다: 월세가 내려가면 지원금도 줄어듭니다.
  • 입원 등 특수 상황: 사용대차 가구의 경우, 90일 이상 입원하면 일시적으로 지원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6. 실제 경험담, 그리고 궁금증

저의 이웃 할머니는 올해 생계급여 기준이 인상되면서, 예전에는 받지 못했던 지원금을 받게 됐다고 하시더라고요. “자동차가 있으면 지원 못 받는 줄 알았는데, 이제는 차도 어느 정도 괜찮다”고 좋아하셨습니다. 또, 청년 지인 중에는 주거급여 덕분에 월세 부담이 줄어서 생활이 한결 수월해졌다는 얘기도 들었어요.

한편, 주거급여를 받던 분들 중에는 “급여가 갑자기 줄었다”며 당황하는 분들도 계세요. 이럴 때는 위에서 말씀드린 이유를 확인해보시면 좋고, 주거급여플러스(www.jgplus.go.kr)에서 자가진단도 해볼 수 있습니다.

7. 핵심 정보 정리

  •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는 저소득 가구의 기본생활을 지원하는 정부 복지제도입니다.
  • 2025년 생계급여 기준이 크게 인상되어, 더 많은 분들이 지원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 자동차 기준, 부양의무자 기준이 완화되어, 예전보다 더 많은 가구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주거급여는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일 때 신청 가능합니다.
  • 주거급여가 갑자기 줄어드는 원인은 가구원 변화, 소득·재산 증가, 기준 임대료 하락, 실제 임차료 하락, 입원 등 특수 상황 때문일 수 있습니다.
  • 신청은 주민센터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8. 마치며

복지 정책은 매년 조금씩 바뀌고, 지원 기준도 점점 완화되고 있어요. 혹시 본인이나 주변 분들 중에 “내가 혹시 지원받을 수 있지 않을까?” 고민하시는 분이 있다면, 꼭 한 번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려요. 복지로 홈페이지나 주거급여플러스에서 간단히 자가진단도 가능하니, 부담 갖지 마시고 활용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생계급여와 주거급여에 대해 최신 정보와 함께, 실제로 궁금해하는 점까지 자연스럽게 정리해봤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일상이 조금이라도 더 나아지길 바랍니다!

Comment

Disqus comment here

EconoMate

Writter by : EconoMate

경제 뉴스, 금융 상식, 생활에 도움 되는 돈 이야기까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경제 콘텐츠를 정리해드립니다.

Recommended for You

생계급여 금액, 이렇게 오를 줄 알았나요? 2025년에 꼭 알아야 할 반전 정보

생계급여 금액, 이렇게 오를 줄 알았나요? 2025년에 꼭 알아야 할 반전 정보

2025년 생계급여 금액 인상, 누가 받을 수 있는지, 실제 수급자들의 이야기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생계급여수급자, 이게 도대체 누구를 위한 지원일까, 내가 받을 수 있을까?

생계급여수급자, 이게 도대체 누구를 위한 지원일까, 내가 받을 수 있을까?

생계급여수급자에 대해 궁금한 모든 것, 누가 받을 수 있고 내가 지원받을 수 있는지 쉽게 알아보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