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재산, 이거 진짜 내가 받을 수 있는 걸까?, 당신의 재산 기준 꼼꼼히 파헤쳐봤다

기초연금 재산 기준, 실제로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한 분들을 위한 꼼꼼한 가이드.

EconoMate avatar
  • EconoMate
  • 4 min read
기초연금 재산
기초연금 재산

요즘 기초연금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으시죠? 특히 “기초연금 재산”이라 하면, 정확히 어떤 재산이 얼마나 허용되는지, 실제로 내가 받을 수 있는지가 가장 궁금한 부분인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최근 많이 묻는 질문과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그리고 실제 사례까지 자연스럽게 풀어서 정리해 볼게요.

기초연금, 재산 기준이란?

기초연금은 우리나라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분들께 지원되는 복지제도예요. 여기서 “재산”이란 단순히 집이나 땅뿐 아니라, 예금, 적금, 주식, 보험, 자동차, 회원권 등 다양한 형태를 모두 포함합니다. 즉, 내가 평범하게 저축해둔 돈이나, 자녀 결혼자금으로 준비한 예금, 보험 해지 환급금, 주식 등도 모두 재산으로 계산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최근 궁금증 TOP 5

  1. 현금, 예금 얼마까지 괜찮아요?

    • 요즘 가장 많이 묻는 질문 중 하나죠. “현금이나 예금이 많으면 기초연금을 못 받나요?” 궁금하실 텐데요. 기초연금 신청 시 금융재산(예금, 적금, 주식, 보험 등)은 모두 합산해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부부가구라면 금융재산 기준이 10억 4,240만 원 이하이면 지급대상이 될 수 있어요(2024년 기준, 서울 거주자).
    • 다만, 소득인정액 기준도 함께 적용되니, 예금이 많더라도 월 소득(근로소득, 연금 등)이 낮으면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자녀에게 증여한 돈, 기초연금에 영향이 있나요?

    • “자녀 결혼자금으로 1억 원을 줬는데, 기초연금에 영향이 없을까요?” 이런 질문도 많아요. 2011년 7월 1일 이후 증여한 재산은 증여세 납부 여부와 상관없이 기초연금 신청인의 금융재산에 포함됩니다. 단, 단독가구는 매달 251만 2,000원, 부부가구는 304만 8,000원씩 자연적 소비 금액을 차감해서 계산합니다.
    • 예를 들어, 단독가구에서 1억 원을 증여했다면, 약 40개월이 지나야 그 잔액이 모두 소진된 것으로 간주돼요.
  3. 보험, 주식, 자동차 등도 재산에 포함되나요?

    • 네, 모두 포함됩니다. 보험은 해지 환급금, 주식은 신청 시점 시세, 자동차는 시가표준액 기준으로 반영됩니다.
    • 특히 고급 자동차(시가표준액 4천만 원 이상)나 고급 회원권은 전액 소득으로 반영돼요. 즉, 이런 자산이 있으면 기초연금 선정에 불리할 수 있습니다.
  4. 자녀 재산은 상관없나요?

    • 네, 기초연금 신청인의 재산만 기준이 되고, 자녀의 재산은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5. 기초연금 신청 전에 예금을 빼서 다른 통장에 넣으면 되나요?

    • “은행에서 현금을 빼거나 자녀 통장에 옮기면 금융재산이 줄어서 유리하지 않을까요?”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죠. 하지만 2011년 7월 1일 이후 재산 변동분에 대해 증빙이 없다면, 모두 신청인의 금융재산에 반영됩니다. 즉, 그냥 옮기기만 해서는 소용이 없습니다.

소득인정액, 이렇게 계산해요

기초연금 선정 기준은 “소득인정액”이 핵심입니다.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근로소득, 연금 등) + 재산의 소득환산액
예를 들어, 근로소득이 있다면 112만 원을 공제한 뒤 70%만 반영하고, 기타소득(연금, 임대소득 등)은 그대로 더합니다.
재산(금융재산, 일반재산)은 일정 공제 후 4%를 곱해서 연간 소득으로 환산합니다.

예시로,

  • 월급 200만 원(근로소득), 국민연금 50만 원(연금소득)
  • 집(공시지가 5억 원), 정기예금 2억 원, 부채 2억 원(은행대출)
  • 소득인정액 = 월급(61.6만 원) + 국민연금(50만 원) + 집(약 121.7만 원) + 정기예금(60만 원) - 부채(66.7만 원) = 약 226.6만 원
  • 2025년 단독가구 기준(228만 원 이하)이면 기초연금 지급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이 묻는 질문과 경험담

최근 한 어르신께서 “내가 예금이 2억 원 있는데, 기초연금 못 받는 거 아니냐?”고 걱정하셨는데요, 실제로 위의 예시처럼 소득이 낮고, 집이나 예금이 있어도 부채가 있다면 소득인정액이 낮아져서 받을 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 보험 해지 환급금이 있는데, 수익자를 자녀로 해두면 괜찮을까요?
계약자가 부모라면, 수익자가 자녀라도 모두 부모의 금융재산에 포함됩니다. 수익자 변경은 계약자 동의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기초연금 신청 전에 계약자를 자녀로 넘기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자녀에게 증여한 돈은 증여세 납부 여부와 상관없이 기초연금 신청인의 금융재산에 포함된다는 점도 꼭 기억하셔야 해요. “증여세 내면 괜찮겠지?”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2025년 기초연금, 달라진 점

2025년부터 기초연금 수급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어르신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228만 원 이하
  • 부부가구: 소득인정액 364.8만 원 이하
    (2024년 대비 각각 15만 원, 24만 원 인상)

기초연금 재산, 핵심만 정리하면?

  • 재산 종류: 예금, 적금, 주식, 보험, 자동차, 회원권 등 모두 포함
  • 금융재산 기준: 부부가구 기준 10억 4,240만 원 이하(서울, 2024년 기준)
  • 자녀 재산: 기초연금 신청과 무관
  • 증여 재산: 2011년 7월 1일 이후 증여한 재산은 모두 신청인의 금융재산에 포함
  • 보험: 해지 환급금 기준, 수익자가 자녀라도 계약자가 부모면 포함
  • 소득인정액: 근로소득, 연금, 재산(공제 후 4% 환산) 등 모두 합산
  • 2025년 변화: 소득인정액 기준 완화, 수급자 확대

마무리하며

기초연금 재산 기준은 생각보다 복잡하지만, 핵심만 잘 이해하면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가 가진 예금, 주식, 보험, 자동차 등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소득이 어느 정도인지만 정확히 파악하면 기초연금 지급 여부를 미리 예측해 볼 수 있어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동네 주민센터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상담받아 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오늘도 안정된 노후를 위한 준비, 함께 응원하겠습니다!

Comment

Disqus comment here

EconoMate

Writter by : EconoMate

경제 뉴스, 금융 상식, 생활에 도움 되는 돈 이야기까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경제 콘텐츠를 정리해드립니다.

Recommended for You

기초연금 모의계산, 내가 받을 수 있을까? 궁금증 끝판왕 해결!

기초연금 모의계산, 내가 받을 수 있을까? 궁금증 끝판왕 해결!

기초연금 모의계산, 내가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꼭 읽어야 할 꿀팁과 실제 경험담까지 친근하게 정리했습니다.

기초연금 노령연금, 두 연금을 동시에 받으면 정말 부자가 될까?

기초연금 노령연금, 두 연금을 동시에 받으면 정말 부자가 될까?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두 연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실제로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궁금증을 해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