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활근로 급여, 이제는 더 이상 궁금증만 안고 있을 수 없다, 실제 경험담부터 최신 변동까지 총정리
자활근로 급여에 대해 궁금한 모든 것, 실제 경험담부터 2025년 최신 변동까지 한 번에 알아봅니다.

- EconoMate
- 3 min read

최근 사회적 이슈나 경제 상황이 불안정해지면서, 저소득층이나 생계를 걱정하는 분들 사이에서 ‘자활근로 급여’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자활근로 급여가 무엇이고, 누가 받을 수 있으며, 실제 급여는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2025년에 새롭게 바뀐 점까지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특히 실제 받는 분들의 경험담이나 궁금할 만한 부분들을 쉽게 풀어서 소개할게요.
자활근로 급여란 무엇일까?
자활근로 급여는 생계가 어려운 분들이 사회에 일자리를 통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정해진 근로활동에 참여하면 그 대가로 급여를 받을 수 있는데, 이 급여를 ‘자활근로 급여’라고 부릅니다. 이 제도는 단순히 돈을 주는 게 아니라, 실제로 일을 하면서 사회에 다시 적응하고, 나아가 민간 일자리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누가 자활근로 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자활근로 급여는 크게 아래와 같은 분들에게 지원됩니다.
- 조건부 수급자: 생계급여를 받기 위해 반드시 자활근로에 참여해야 하는 분들입니다. 근로능력이 있지만 경제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 일반 수급자: 근로능력이 없거나 특별한 사정이 있는 분들도 있지만, 희망하면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차상위계층: 생계급여는 못 받지만,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저소득층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의료급여 수급자, 시설 수급자 등 다양한 계층이 조건에 따라 참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조건부 수급자는 자활근로에 참여하지 않으면 생계급여가 중단될 수 있으니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자활근로 급여는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2025년 기준, 자활근로 급여는 참여하는 사업 유형에 따라 다르게 지급됩니다. 대표적으로 시장진입형, 사회서비스형, 근로유지형이 있는데, 각각 근로 시간과 급여 단가가 다릅니다.
구분 | 일급(실비 포함) | 근로시간(1일) | 월 소득(예시) |
---|---|---|---|
시장진입형 | 64,220원 | 8시간 | 약 1,565,720원 |
사회서비스형 | 56,210원 | 8시간 | 약 1,357,460원 |
근로유지형 | 32,980원 | 5시간 | 약 753,480원 |
이렇게 보면, 시장진입형이 가장 많이 받고, 근로유지형은 시간도 짧고 급여도 적은 편입니다. 실제로 자활근로 급여는 최저시급보다는 낮은 편이지만, 생계급여와 병행해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도움이 많이 됩니다.
자활근로 급여와 생계급여,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인데, 자활근로 급여와 생계급여는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자활근로로 받은 소득 중 일부가 생계급여 산정 시 소득으로 반영됩니다. 그런데 자활근로 소득의 30%는 공제되어 실제로는 많은 분들이 생계급여를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활근로로 100만 원을 벌었다면, 그 중 30만 원은 공제되어 생계급여 산정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자활근로에 참여하면서도 생계급여를 계속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는 자활근로가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지 않도록 설계된 제도라는 점에서 큰 장점입니다.
2025년, 자활근로 급여에서 새롭게 바뀐 점
2025년부터 자활근로 급여 단가가 3~4% 정도 인상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서비스형은 하루 52,210원에서 56,210원으로 올랐고, 근로유지형은 28,980원에서 32,98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더 중요한 변화는 ‘자활 성공 지원금’이 새롭게 도입된 점입니다. 이 제도는 자활근로에 참여한 분이 민간기업에 취업하거나 창업해서 생계급여 수급에서 벗어나면, 추가로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민간 취업 후 6개월이 지나면 50만 원, 1년이 지나면 10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해서 연간 최대 15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6월에 민간 기업에 취업했다면, 2025년 12월에 50만 원을 받고, 2026년 6월까지 계속 근무하면 100만 원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자활근로에서 벗어나 민간 일자리로 진입하는 분들이 더 많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실제 참여자 경험담과 팁
실제로 자활근로에 참여한 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처음에는 부담이 컸지만, 일하면서 자신감이 생겼다”, “생계급여와 함께 받으니 생활이 훨씬 나아졌다”, “민간 취업으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많습니다.
또한, 자활근로는 단순히 돈을 버는 것뿐 아니라, 다양한 교육이나 취업 알선, 창업 지원 등도 받을 수 있어서 앞으로의 삶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만약 자활근로에 참여하고 싶다면, 주민센터 복지과나 지역 자활센터에 문의하시면 상담부터 대상자 선정, 사업 배치까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독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 자활근로 급여는 저소득층이 사회에 다시 적응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조건부 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다양한 분들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 2025년 기준, 시장진입형은 하루 64,220원, 사회서비스형은 56,210원, 근로유지형은 32,980원(실비 포함)입니다.
- 자활근로 급여와 생계급여는 동시에 받을 수 있으며, 자활근로 소득의 30%는 생계급여 산정 시 공제됩니다.
- 2025년부터 ‘자활 성공 지원금’이 신설되어, 민간 취업 후 6개월·1년이 지나면 최대 150만 원까지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실제 참여자들은 자활근로를 통해 자신감을 얻고, 민간 일자리로 나아가는 계기가 된다고 말합니다.
이렇게 자활근로 급여에 대해 궁금한 점을 최신 정보와 함께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주민센터나 복지로(129)로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안내해 주실 거예요. 모두에게 희망찬 내일이 찾아오길 바랍니다!